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.
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,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.

제10회 글로비스배 세계 바둑 U-20

덤프버전 :

1. 개요
2. 참가 기사
3. 경기 진행
3.1. 16강 (2023년 6월 3일)
3.1.1. 1회전
3.1.2. 2회전
3.1.3. 3회전
3.2. 8강 ~ 결승 (2023년 6월 4일)
3.2.1. 8강
3.2.2. 4강
3.2.3. 3/4위전 & 결승
4. 대회 결과


1. 개요[편집]


일본기원에서 주최한 2023년 글로비스배 세계 바둑 U-20. 이번 대회는 2023년 6월 3일부터 이틀간 진행되었다. 6월 3일에는 16강 조별 더블엘리미네이션, 6월 4일에는 8강 토너먼트가 진행되며 개시 시간은 16강 경기는 오전 10시, 오후 1시, 오후 3시 30분에 열렸으며 8강 토너먼트[1]는 낮 12시(8강), 오후 2시 30분(준결승), 오후 5시(결승/3-4위전)으로 나눠 동시에 대국이 진행되었다.


2. 참가 기사[편집]


한국(3명) : 문민종 六단, 한우진 七단, 이 연 五단
중국(3명) : 쉬이디 三단, 왕싱하오 八단, 투샤오위 八단
일본(6명) : 오모테 유토 初단, 다나카 유키 二단, 창 푸캉 二단, 사카이 유키 四단, 고니시 요시아키라 初단, 미우라 다로 三단
대만(1명) : 쉬징언 五단
미국(1명) : 케빈 양 初단
루마니아(1명) : 데니스 도브라니스 初단
태국(1명) : 퐁샤칸 소나라 初단
총 16명 참여

글로비스배 규정상 2003년생 이전 기사는 이번 대회에 참가할 수 없다.[2]


3. 경기 진행[편집]



3.1. 16강 (2023년 6월 3일)[편집]


제10회 글로비스배 세계 바둑 U-20 - 16강 조별 더블엘리미네이션 결과
조편성 선수결과
A조파일:일본 국기.svg 다나카 유키1216강 탈락
파일:중국 국기.svg 쉬이디208강 진출
파일:일본 국기.svg 고니시 요시아키라218강 진출
파일:태국 국기.svg 퐁샤칸(Pongsakarn Sornarra)0216강 탈락
B조파일:일본 국기.svg 미우라 다로1216강 탈락
파일:대한민국 국기.svg 한우진218강 진출
파일:중국 국기.svg 왕싱하오208강 진출
파일:루마니아 국기.svg 데니스 도브라니스0216강 탈락
C조파일:일본 국기.svg 창 푸캉0216강 탈락
파일:중국 국기.svg 투샤오위208강 진출
파일:대한민국 국기.svg 문민종218강 진출
파일:미국 국기.svg 케빈 양1216강 탈락
D조파일:일본 국기.svg 사카이 유키208강 진출
파일:대한민국 국기.svg 이 연1216강 탈락
파일:일본 국기.svg 오모테 유토0216강 탈락
파일:중화 타이베이 올림픽기.svg 쉬징언218강 진출

  • 중계 : 바둑TV(이유민, 홍무진 六단)
- 1회전 중계 대국 : 한우진-미우라 다로
- 2회전 중계 대국 : 문민종-투샤오위, 이연-오모테 유토[H/L]
- 3회전 중계 대국 : 한우진-미우라 다로


3.1.1. 1회전[편집]


대진 (오전 10시 개시)결과
A조파일:일본 국기.svg 다나카 유키파일:중국 국기.svg 쉬이디139수 흑 불계승
파일:일본 국기.svg 고니시 요시아키라파일:태국 국기.svg 퐁샤칸 소나라179수 흑 8집반승
B조파일:일본 국기.svg 미우라 다로파일:대한민국 국기.svg 한우진260수 백 불계승
파일:중국 국기.svg 왕싱하오파일:루마니아 국기.svg 데니스 도브라니스126수 백 불계승
C조파일:일본 국기.svg 창 푸캉파일:중국 국기.svg 투샤오위122수 백 불계승
파일:대한민국 국기.svg 문민종파일:미국 국기.svg 케빈 양232수 백 불계승
D조파일:일본 국기.svg 사카이 유키파일:대한민국 국기.svg 이 연241수 흑 불계승
파일:일본 국기.svg 오모테 유토파일:중화 타이베이 올림픽기.svg 쉬징언241수 흑 1집반승

3.1.2. 2회전[편집]


2회전에서는 8경기 모두에서 백번을 잡은 선수가 승리하는 희귀한 일이 일어났다.
  • 승자전
대진 (오후 1시 개시)결과
A조파일:중국 국기.svg 쉬이디파일:일본 국기.svg 고니시 요시아키라265수 백 6집반승
B조파일:중국 국기.svg 왕싱하오파일:일본 국기.svg 미우라 다로174수 백 불계승
C조파일:중국 국기.svg 투샤오위파일:대한민국 국기.svg 문민종184수 백 불계승
D조파일:중화 타이베이 올림픽기.svg 쉬징언파일:일본 국기.svg 사카이 유키226수 백 불계승

  • 패자전
대진 (오후 1시 개시)결과
A조파일:일본 국기.svg 다나카 유키파일:태국 국기.svg 퐁샤칸 소나라250수 백 불계승
B조파일:루마니아 국기.svg 데니스 도브라니스파일:대한민국 국기.svg 한우진272수 백 9집반승
C조파일:일본 국기.svg 창 푸캉파일: 미국 국기.svg 케빈 양294수 백 1집반승
D조파일:일본 국기.svg 오모테 유토파일:대한민국 국기.svg 이 연120수 백 불계승

3.1.3. 3회전[편집]



3회전에서는 흑번 기사들이 모두 승리했다.
대진 (오후 3시 30분 개시)결과
A조파일:일본 국기.svg 다나카 유키파일:일본 국기.svg 고니시 요시아키라217수 흑 불계승
B조파일:대한민국 국기.svg 한우진파일:일본 국기.svg 미우라 다로175수 흑 불계승
C조파일:대한민국 국기.svg 문민종파일:미국 국기.svg 케빈 양173수 흑 불계승
D조파일:대한민국 국기.svg 이 연파일:중화 타이베이 올림픽기.svg 쉬징언157수 흑 불계승

3.2. 8강 ~ 결승 (2023년 6월 4일)[편집]


제10회 글로비스배 세계 바둑 U-20 - 8강~결승 대진표
8강준결승결승
파일:중국 국기.svg 쉬이디파일:대한민국 국기.svg 한우진파일:대한민국 국기.svg 한우진
우승
파일:대한민국 국기.svg 한우진
파일:중국 국기.svg 투샤오위파일:중국 국기.svg 투샤오위
파일:중화 타이베이 올림픽기.svg 쉬징언
파일:중국 국기.svg 왕싱하오파일:중국 국기.svg 왕싱하오파일:중국 국기.svg 왕싱하오
준우승
파일:일본 국기.svg 고니시 요시아키라
파일:일본 국기.svg 사카이 유키파일:대한민국 국기.svg 문민종
파일:대한민국 국기.svg 문민종

  • 중계 : 바둑TV(김다영 四단, 송규상 七단)
  • 원래는 16강 더블엘리미네이션과 똑같이 오전 10시, 오후 1시, 오후 3시 30분에 대국을 시작하려 했으나 대국에 사용중인 프로그램인 사이버오로 서버 이슈로 인해 대국 시작 시간이 연기되었다.

3.2.1. 8강[편집]


대진 (낮 12시 개시)결과
파일:중국 국기.svg 쉬이디파일:대한민국 국기.svg 한우진236수 백 불계승
파일:중국 국기.svg 왕싱하오파일:일본 국기.svg 고니시 요시아키라162수 백 불계승
파일:중국 국기.svg 투샤오위파일:중화 타이베이 올림픽기.svg 쉬징언185수 흑 불계승
파일:일본 국기.svg 사카이 유키파일:대한민국 국기.svg 문민종241수 흑 불계승


3.2.2. 4강[편집]


대진 (오후 2시 30분 개시)결과
파일:대한민국 국기.svg 문민종파일:중국 국기.svg 왕싱하오208수 백 불계승
파일:대한민국 국기.svg 한우진파일:중국 국기.svg 투샤오위295수 흑 불계승


3.2.3. 3/4위전 & 결승[편집]


경기대진 (오후 5시 개시)결과
3/4위전파일:대한민국 국기.svg 문민종파일:중국 국기.svg 투샤오위285수 흑 4집반승
결승파일:중국 국기.svg 왕싱하오파일:대한민국 국기.svg 한우진269수 백 2집반승

4. 대회 결과[편집]


순위선수
우승파일:대한민국 국기.svg 한우진 七단
준우승파일:중국 국기.svg 왕싱하오 八단
3위파일:중국 국기.svg 투샤오위 八단
4위파일:대한민국 국기.svg 문민종 六단

한우진이 자신의 커리어 첫 세계대회 우승을 달성했다. 선발전을 통해 글로비스배 대표로 선발된 한우진은 첫 판에서 일격을 당했지만 5연승을 달리며 우승을 차지했다. 특히 결승에서 글로비스배 2연패에 메이저 세계대회에서도 조금씩 두각을 드러내고 있는 왕싱하오의 대회 3연패를 저지하고 우승을 차지했다.


파일:CC-white.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-11-20 07:28:58에 나무위키 제10회 글로비스배 세계 바둑 U-20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.


[1] 사이버오로 서버 문제로 대국 시작시간 연기[2] 이로 인해 문민종(2003년생)은 이번이 글로비스배 마지막 출전이 된다.